
아침마당은 워낙 유명합니다. 8시 넘어서 TV를 켜면 볼만한게 아침마당 밖에 없지요. 그 프로그램이 힛트하는 이유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시청자들의 참여를 유도하는데 있어서 탁월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생방송도 아닌데 이런 시스템을 만드는게 대단해 보였습니다.아침마당의 경우에는 2가지 시스템으로 참여가 가능합니다. 하나는 ARS 다른 하나는 티벗이라는 것이지요. 한떄는 티벗을 그렇게 강조하더니, 이제는 ARS만 광고를 하더라고요. 근데 아직까지 둘다 참여가 가능합니다. 왜 티벗을 감추는지는 잘 몰랐는데, 오랜만에 어플에 들어가보니까 알겠더라고요. 티벗을 활용하는곳이 많이 늘었습니다.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도 티벗을 활용하고, 생생정보 깜짝퀴즈라는 것을 도입을 하였습니다. 이렇게 ..

문화어는 북한에서 사용하는 한국어의 표준말입니다. 이 표준말은 '국어사정위원회'라는 기관에서 정합니다. 북한에서는 '한국어'를 '조선어'라고 부르고, 그 조선어의 표준말을 '문화어'라고 합니다.우리나라 말과 북한 말이 달라지게 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1945년 이후 남한과 북한은 서로 다른 정치 체제를 갖게 되었습니다. 남한은 미국과 서구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북한은 자신들만의 독자적인 정책을 세웠습니다. 그래서 두 지역의 언어가 다르게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남한과 북한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언어를 교육했습니다. 남한에서는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규정을 따랐지만, 북한은 문화어라는 자신들만의 표준말을 정해서 가르쳤습니다.마지막으로, 남한과 북한의 사회와 문화가 다르게 발전했습니다. 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