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영상 링크를 친구에게 보내거나 팀원과 공유할 때, 긴 URL이 화면을 차지하고 오타가 생길 위험이 있어 불편함을 느꼈습니다. 그래서 실제로 두 가지 방법을 시도해 보았고, 상황에 따라 가장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아래 내용은 제가 평소에 직접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했으며, 필요에 따라 확장하거나 선택적으로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1) YouTube 자체 단축 URL (가장 간단하고 추천)

YouTube는 영상마다 짧은 형식의 링크를 자동으로 생성해 주는 편리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방법은 추가적인 서비스 가입이 필요 없고, 바로 사용할 수 있어 대부분의 상황에서 가장 빠르고 안정적입니다.

  1. 공유 버튼 사용: 영상을 열고 화면 아래의 공유 버튼을 클릭하면 팝업창에 짧은 URL이 나타납니다. 이 링크는 https://youtu.be/dQw4w9WgXcQ 형태로 표시되며, 화면 옆의 복사 버튼으로 쉽게 복사할 수 있습니다.
  2. 시간대 포함하여 공유: 특정 시간부터 재생되도록 하고 싶다면 공유 버튼 클릭 후 시작 시간 옆의 체크박스를 선택하고 원하는 시간을 입력합니다. 그러면 링크가 https://youtu.be/dQw4w9WgXcQ?t=30s처럼 시작 시점을 포함하게 됩니다.

예시를 보면 원본 URL과 단축 URL의 차이가 명확합니다. 원본 URL은 https://www.youtube.com/watch?v=dQw4w9WgXcQ 이고, 단축 URL은 https://youtu.be/dQw4w9WgXcQ 로 표시됩니다. 또한 시작 시간을 포함한 예시는 https://youtu.be/dQw4w9WgXcQ?t=30s 형태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외부 URL 단축 서비스 이용

다소 더 다양한 기능이 필요하거나 클릭 수 통계 확인, 커스텀 URL 생성 등 추가 옵션이 필요할 때는 외부 URL 단축 서비스를 활용하는 것이 유용합니다. 대표적으로 Bitly와 TinyURL이 많이 사용됩니다.

  • Bitly: 로그인 후 클릭 수 통계 확인, 커스텀 도메인 설정 등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 TinyURL: 로그인 없이도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어 즉시 단축이 필요할 때 유용합니다.

단축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줄이고 싶은 유튜브 영상의 전체 URL을 복사하고, 원하는 단축 서비스의 사이트에 접속한 뒤 복사한 링크를 붙여넣어 단축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생성된 단축 링크를 다시 복사해 필요한 곳에 붙여 사용하면 됩니다. 다만 외부 서비스는 YouTube 자체 단축 URL보다 한 단계 더 거쳐야 하며, 일부 사용자는 낯선 링크에 대해 스팸이나 악성 링크로 오해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링크를 보낼 때 맥락이나 설명을 함께 덧붙이면 신뢰도와 이해도가 올라갑니다.

두 방법의 차이를 정리하면, 일반적으로는 YouTube 자체 단축 URL이 더 간단하고 신뢰도가 높습니다. 반면에 팀 단위의 프로젝트나 마케팅 업무처럼 링크 관리가 중요한 상황이라면 외부 서비스가 더 유용할 수 있습니다. 필요에 따라 상황에 맞춰 선택하시면 됩니다.

필요한 상황에 따라 간편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을 선택해 사용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