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 표시줄의 투명도 설정은 제 경험상 사용 환경에 작은 차이를 남길 만큼 중요합니다. 버전에 따라 방법이 조금 다르니, 아래 방법들을 차근차근 시도해 보시길 권합니다. 천천히 따라 해 보셔도 어렵지 않습니다.
Windows 11에서 투명 효과 적용
- 설정 열기: Windows 키 + I를 누르거나 시작 메뉴에서 “설정”을 검색해 엽니다.
- 개인 설정 선택: 왼쪽 메뉴에서 “개인 설정”을 클릭합니다.
- 색 선택: 오른쪽 메뉴에서 “색”을 클릭합니다.
- 투명 효과 켜기: “투명 효과” 옵션을 찾아 켬으로 설정합니다.
Windows 10에서 투명 효과 적용
- 설정 열기: Windows 키 + I를 누르거나 시작 메뉴에서 “설정”을 검색해 엽니다.
- 개인 설정 선택: 왼쪽 메뉴에서 “개인 설정”을 클릭합니다.
- 색 선택: 오른쪽 메뉴에서 “색”을 클릭합니다.
- 투명 효과 켜기: “투명 효과” 옵션을 찾아 켬으로 설정합니다.
더욱 투명하게 설정하려면(Windows 10 및 11) 외부 프로그램 사용
기본 설정만으로는 원하는 만큼 투명도가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신뢰할 수 있는 외부 도구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가장 널리 쓰이는 도구로 TranslucentTB가 있습니다.
- TranslucentTB 다운로드: 공식 저장소에서 안전하게 설치합니다.
- TranslucentTB GitHub 저장소를 방문해 최신 버전을 확인하고 설치합니다.
- TranslucentTB 실행: 설치가 끝나면 시스템 트레이에 아이콘으로 표시됩니다.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실행합니다.
- 투명도 설정: 오른쪽 메뉴에서 다양한 투명도 옵션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 Opaque: 불투명
- Clear: 완전히 투명
- Blur: 흐림
- Fluent: Fluent 디자인 적용
- Accent: 테마 색상에 맞춘 투명도
- Mica: Windows 11의 Mica 효과와 유사
- 자동 시작 설정(권장): TranslucentTB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클릭해 Settings/Preferences로 들어가서 Start with Windows 옵션을 활성화합니다.
주의사항
- 외부 프로그램 사용 시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이용하시길 권합니다. 특히 Microsoft Store나 공식 GitHub 저장소 등 검증된 곳에서 다운로드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일부 구형 PC에서는 투명 효과를 적용하면 약간의 성능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 Windows 업데이트 후 투명 설정이 초기화되거나 프로그램이 정상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다시 설정하거나 도구를 업데이트하면 해결될 수 있습니다.
필요한 방법을 선택해 보시고, 상황에 맞게 적용해 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