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아이가 수족구병으로 얼굴에 작은 발진이 생겼을 때 처음으로 이 질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시작했습니다. 뺨과 이마에 붉은 점이 생기고 물집으로 발전하는 모습을 보자 걱정도 컸고, 입안 물집으로 음식을 섭취하는 데 불편함이 생겨 더욱 조심하게 되었습니다. 그 경험을 바탕으로 얼굴 증상 중심의 정보를 정리해 두니 필요할 때 도움이 되었습니다.
얼굴에 나타나는 수족구 증상
얼굴에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은 주로 다음과 같습니다. 이와 함께 손이나 발 등 다른 부위에도 유사한 발진이 함께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얼굴에 붉은 반점이나 작은 물집이 생길 수 있습니다. 주로 뺨, 이마, 턱 부근에서 시작될 수 있습니다.
- 발진 부위 주위의 가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입 안의 물집이 생길 경우 음식 섭취 시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얼굴 발진이 터지면서 약간의 불편감이나 타는 듯한 느낌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손발 등 다른 부위에도 유사한 물집이나 발진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
얼굴 발진은 수족구병 외에도 알레르기, 아토피, 다른 바이러스성 발진 등 여러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발열이나 인후통, 입안 물집 등 다른 증상이 함께 나타나면 보다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아이가 발진 부위를 긁지 않도록 손톱을 짧게 관리하고, 가려움이 심하다면 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연고나 약을 처방받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수족구병은 전염성이 강하므로 의심되면 가정 내에서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언제 병원에 가야 할까요?
다음과 같은 상황이 있을 때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 38도 이상의 고열이 지속되거나 아이가 힘들어 하는 경우
- 입안 물집으로 인해 음식 섭취가 어려워 탈수가 우려되는 경우
- 발진이 심하거나 넓게 퍼지는 경우
- 다른 증상(심한 인후통, 기침, 콧물 등)이 동반되거나 수족구병이 의심되는 경우
- 발진 부위에 이차 감염의 징후가 보이는 경우(붉어짐, 부어오름, 고름 등)
- 아이의 컨디션이 평소와 다르게 크게 나빠지는 경우
관리 팁 및 예방
얼굴 증상이 나타났을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관리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다만 모든 치료는 의사와 상의한 후에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 수분과 영양 섭취를 충분히 유지합니다. 특히 구강 통증으로 식사에 어려움이 있다면 미지근한 물이나 차, 부드러운 음식을 선택합니다.
- 손과 발의 위생을 철저히 관리하고, 손톱을 짧게 유지합니다.
- 가려움이 심할 경우 의료진의 처방에 따른 연고나 약을 사용합니다.
- 탈수 예방을 위해 충분한 수분 공급과 휴식을 우선합니다.
- 전염성 관리 차원에서 가족 간의 접촉을 무리하게 피하고, 필요 시 아이를 집에서 휴식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 증상이 심해지거나 의심되는 경우에는 지체 없이 의료 전문가의 진료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