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중학생 큰딸이 학교 독후감 숙제를 봐달라고 가져왔습니다. ‘공백 제외 1,000자 이상’이라는 조건이 붙어있더군요. 제가 대학 리포트를 쓰던 시절에는 원고지 한 장 한 장 글자 수를 직접 세곤 했는데, 요즘은 참 편해졌습니다. 딸에게 ‘글자수 계산기’ 사용법을 알려주면서, 저처럼 자녀의 숙제를 봐주거나 취업을 위해 자기소개서를 쓰는 분들께도 유용할 것 같아 정리해 보았습니다. 타자수 계산기 소개합니다.

글자수 계산기란? (공백 포함 vs 공백 제외)

글자수 계산기는 이름 그대로 작성한 글이 총 몇 자인지 자동으로 세어주는 도구입니다. 글자수 계산기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공백 포함‘과 ‘공백 제외‘ 글자 수를 모두 보여주는 것입니다. ‘공백 포함’은 띄어쓰기, 줄 바꿈까지 모두 한 글자로 계산하는 방식이고, ‘공백 제외’는 순수하게 글자만 센 결과입니다. 제출하려는 곳의 요구사항이 어떤 기준인지 먼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글자수 계산기에 텍스트를 입력한 화면

글자수 계산기는 언제 사용할까요?

글자 수 확인은 생각보다 우리 생활 여러 곳에서 필요합니다.

  • 자기소개서 작성: 취업이나 대입을 준비할 때, 각 항목별로 정해진 글자 수 제한을 맞춰야 하므로 필수적으로 사용하게 됩니다.
  • 학교 과제 및 보고서: 논술이나 리포트 등 정해진 분량 요구사항을 확인하며 글을 작성할 때 유용합니다.
  • 블로그 및 SNS 포스팅: 특정 플랫폼의 글자 수 제한(트위터 등)에 맞추거나, SEO(검색엔진최적화)를 위해 글의 길이를 조절할 때 사용합니다.
  • 원고 작업: 작가나 번역가들이 원고료를 산정하는 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믿을 수 있는 글자수 계산기 바로가기

인터넷 검색만으로도 수많은 글자수 계산기를 찾을 수 있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고 신뢰도 높은 곳들을 추천합니다.

  • 네이버 글자수 세기포털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어 접근성이 가장 좋습니다. 간단한 글자 수를 확인할 때 가장 빠르고 편리합니다.
  • 잡코리아 글자수 계산기채용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만큼, 자기소개서 글자 수 제한에 맞춰 글을 다듬는 데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 사람인 글자수 계산기잡코리아와 마찬가지로 취업 준비생들이 자기소개서를 작성하고 검토할 때 가장 많이 찾는 도구 중 하나입니다.